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장마철 침수 대처방법

by 🌎별 2024. 7. 2.
반응형

 

곳곳에서 비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인데요, 기상청은 올 여름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주변을 살피고 안전에 힘 써야겠습니다.


호우 예보 시 준비해야 할 것!

 

호우예보가 내렸을 때, 먼저 해야 할 것은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자주 접하는 것이다.
비가 내릴 때는 가능하면 외출을 피하고 위험지역에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한다.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과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피하는 것이 좋다.
공사장 근처도 공사자재가 넘어지는 등 사고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자.


저지대, 상습침수지역 등 취약지역 거주자
: 기상 정보 수시 확인
 
지하공간 거주자
: 방법창 들을 절단할 수 있는 공구(절단기 등) 준비
 

 
 
침수 공간에서 탈출이 불가능 할 경우 대비
물에 뜰 수 있는 부유용품(구명조끼, 튜브, 대형스티로폼 등) 준비
 

 

만약을 대비해 응급약, 손전등 등을 미리 챙겨두고, 호우경보나 주의보가 발효될 때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가까운 대피소나 안전한 고지대를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좋다.

비상연락처도 미리 저장해두면 필요할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하수구와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하고, 비가 오기 전 하천·지하공간 등에 있는 차를 높은 곳으로 이동해 두도록 한다.

수심이 무릎 높이 이상은 성인도 이동이 어렵다.
 

 
 
지하공간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에서 역류 시 즉시 대피한다!
 
물이 집 안으로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라면 출입문부터 개방한다. 외부 수심이 무릎 이상일 경우 혼자서 개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습침수지역 거주민은 대피를 준비하고,
대피할 때는 수도와 가스 밸브, 전기차단기를 꼭 내려두어야 한다.
대피 시 산사태 위험 지역이나 전신주, 가로등 근처는 가지 않는다.
 
이동 시 난간 등 신체 지지에 도움이 되는 것을 잡고 이동한다.
 
문을 통해 대피 불가능 시 다른 대피로 확보
방법창이 안 열릴 경우 가능면 절단기 들을 이용해 방법창을 자르고 탈출해야 한다.
 

 
 
대피시엔 구두, 하이힐, 슬리퍼 보다 운동화가 용이!
 
 

 
 
장화는 안에 물이 차 대피가 어려우니 장화도 피한다.
마땅한 신발이 없을 시엔 맨발도 좋다.
 

 
 

호우가 지나고 난 후에는 침수된 집의 환기를 먼저하고, 가스와 전기는 기술자 안전조사 후 사용해야 한다. 오염물에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섭취하지 않고, 붕괴위험이 있는 도로나 제방 쪽으로는 가지 않는다.


자동차 운전 중에 차량이 침수된다면, 타이어 높이의 2/3 이상 잠기기 전에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차량이 침수되어 문이 열리지 않을 때는 목받침 하단 철재봉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깨서 대피하고, 깨지 못한 경우 내·외부 수위차이가 30cm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문이 열리는 순간 탈출한다.

침수된 지하차도는 절대 진입 금지하고, 진입했다면 차량을 두고 신속히 밖으로 대피해야 한다. 급류가 있는 교량 역시 진입하지 말고 우회하거나 안전한 곳에서 대기해야 한다.

호우 시 지하공간을 이용 중이라면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반지하주택, 지하 역사 상가에서는 지하공간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에서 역류 시 대피한다. 외부수심이 무릎 이상일 경우 혼자서 문을 열기 어렵다면, 전기전원 차단 후 여러 명이 힘을 합쳐 문을 열고 대피하도록 한다.

지하주차장에서는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차량은 두고 즉시 탈출하고, 주차장으로 유수 유입 시 차량 확인을 위해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것은 절대 금한다.

대피 시에는 운동화가 용이하고, 마땅한 신발이 없을 시에는 맨발로 대피한다.

지하계단에서는 종아리 높이 정도로 물이 유입되어도 성인이 올라가기 어렵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비가 흘러 들어오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대피 시에는 운동화가 용이하고, 마땅한 신발이 없을 시에는 맨발로 대피한다.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
☎ 전화신고 120
☎ 긴급사항 119



반응형